하위 20% 소득 2분기째 늘어…7분기 만에 최대폭↑

올해 3분기 가계의 소득 격차가 4년 만에 감소했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소득이 7분기 만에 최대폭 늘며 2분기 연속 증가한 데 비해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소득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다.

하지만 자영 업황이 악화하면서 전체 가구의 소득 가운데 사업소득은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1일 이런 내용의 2019년 3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3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2인 이상)은 월평균 487만6천9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7% 늘었다.

3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7배로 1년 전(5.52배)보다 0.15배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3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0.27배p)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3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4.46배)를 저점으로 2016년(4.81배), 2017년(5.18배), 2018년(5.52배) 등으로 3년 연속 악화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을 1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며, 가구별 가구원 수를 고려해 계산한다.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시장소득 기준 5분위 배율(9.13배)에 비해선 3.76배p 개선됐다. 정부 정책으로 인한 소득 개선 효과는 3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로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3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의 소득을 소득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업소득 감소가 두드러진다.

사업소득이 월평균 87만9천8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9% 줄어들어 4분기 연속 감소했다. 감소폭은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다.

반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평균 336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4.8% 늘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소비가 둔화하고 건설·설비투자 등 전반적 내수여건이 어려운 탓에 자영 업황이 부진해 3분기 가계의 사업소득이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면서 "전반적으로 자영업자가 아래 분위로 이동하거나 무직 가구로 전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공적이전소득(39만9천600원)을 포함한 이전소득(60만300원)은 8.6% 증가한 반면 재산소득(2만100원)과 비경상소득(1만5천700원)은 각각 2.5%, 63.4% 감소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 소득이나 퇴직수당과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3분기에 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137만1천600원으로 1년 전보다 5만6천800원(4.5%) 늘어 2분기째 증가했다. 증가폭은 2017년 4분기(10.2%) 이후 최대다.

작년 1분기(-8.0%) 이후 5분기 연속 감소한 1분위 소득은 올해 2분기(0.04%) 증가세로 전환한 데 이어 3분기에는 증가폭이 커진 것이다.

1분위 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6.5% 줄어 7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폭은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축소됐다.

사업소득은 11.3% 증가해 3분기 연속 증가했고, 이전소득은 11.4% 늘어 지난해 3분기(19.9%) 이후 1년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특히 공적 이전소득이 49만4천600원으로 19.1% 늘어 이전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공적 이전소득 중에는 공적연금(18만6천원)이 가장 많았고, 기초연금(17만6천원), 사회수혜 금(11만7천2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5분위 명목소득은 월평균 980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6만4천500원(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영 업황 악화로 사업소득이 12.6% 줄어 2003년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최대폭 줄어들면서 전체소득 증가세가 둔화하는 원인이 됐다.

박상영 과장은 "저소득 가구는 정부의 소득지원 강화와 고용시장의 양적 호조에 따른 근로소득 감소폭 축소로 소득이 증가했다"면서 "반면에, 고소득 가구의 소득은 증가폭이 저소득 가구에 못 미치면서 소득 격차가 개선됐다"고 말했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정부가 일관성 있게 추진해온 소득주도성장, 포용성장의 효과가 3분기에는 본격화되고 있다"면서 "소득분배여건 개선에는 최근 고용회복과 함께 정부 정책효과가 비교적 잘 작동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자평했다.

그는 "1분위 내 고령 가구와 무직 가구가 이번에도 많이 증가했고, 온라인쇼핑 확대 등 생산·유통구조 변화로 자영업 등의 어려움도 계속되는 등 우리를 둘러싼 대내외여건이 결코 녹록지 않다"면서 "이번 결과는 고령화 등 급속한 구조변화 속에서 이뤄낸 결과라 더욱 뜻깊다"고 덧붙였다.

한편 3분기 전체 가계의 명목 처분가능소득은 1.5% 늘어 2분기째 증가세를 기록했다.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은 1.5% 늘어 지난해 1분기 이후 7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5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은 0.9% 줄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사회보장부담금, 이자 비용,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 지출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3분기 전체 가계의 실질 소득도 2.7% 늘어 8분기째 증가 행진을 이어갔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세정일보]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